퀄컴 스냅드래곤X엘리트 기반 Copilot+PC, MS 서피스 프로
작성자 정보
- 블로거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417 조회
- 목록
본문

지난 몇십 년간 노트북 시장은 주로 x86 프로세서 계열의 인텔과 AMD가 양분해 왔으며, 현재도 인텔이 80%, AMD가 2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두 회사는 서로 경쟁하면서도, x86 체제를 유지해왔습니다. 그러나 이 체제에 도전하는 시도들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1990년대에는 IBM의 파워PC와 썬마이크로시스템즈의 SPARC가 등장했지만,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사라졌습니다. 2020년대에 들어서는 ARM 기반의 모바일 프로세서를 탑재한 노트북들이 등장하기 시작했지만, 애플만이 자사의 애플 실리콘을 통해 기술적 독립을 달성하며 주목받았습니다. 그러나 이외의 ARM 기반 노트북들은 아직까지 x86 아키텍처에 비해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AI PC 시대가 도래하면서, 장치에서 인공지능 기능을 직접 실행할 수 있는 요구가 높아졌고, 이로 인해 모바일 프로세서 시장의 강자인 퀄컴이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게 되었습니다. 퀄컴은 2011년에 인수한 누비아의 CPU 지식 재산권에 신경망 처리 장치(NPU)를 결합하여 AI PC용 프로세서인 퀄컴 스냅드래곤X 엘리트를 완성했습니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은 인텔과 AMD 이외의 또 다른 선택지에 주목하기 시작했으며, 애플 실리콘과 유사한 높은 성능과 우수한 배터리 성능을 갖춘 제품이 등장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졌습니다.
이러한 기대 속에서, 지난 5월 20일 마이크로소프트의 빌드 행사에서 코파일럿+PC가 발표되었으며, 이를 통해 스냅드래곤X 엘리트를 탑재한 노트북이 시장에 정식 출시되었습니다. 국내 시장에는 삼성전자 갤럭시 북4 엣지, 서피스 프로, 서피스 랩탑 등이 스냅드래곤X 엘리트를 탑재하고 출시되었습니다. 이제 이 제품들의 성능과 활용도를 직접 살펴보겠습니다.
-
1. 성능 평가
스냅드래곤X 엘리트는 AI 성능을 강화한 프로세서로, 특히 NPU(신경망 처리 장치)를 통해 AI 처리 능력이 뛰어나다는 점이 강조됩니다. 그러나 발열 문제로 인해 서피스 프로와 같은 얇은 태블릿형 PC에서는 프로세서의 전체 성능을 다 발휘하지 못하는 것이 아쉬운 점입니다.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CPU 성능은 괜찮은 수준이지만, 내장 그래픽 성능은 다소 부족하며, 특히 게임 성능에서 한계를 보였습니다. -
2. 호환성
ARM 기반의 윈도우 PC로서, 호환성에 대한 우려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마이크로소프트의 프리즘 에뮬레이터를 통해 상당 부분의 호환성이 개선되었으며, 주요 금융 앱 등은 문제없이 실행된다고 합니다.하지만 구형 프로그램이나 최신 업데이트가 없는 프로그램에서는 여전히 호환성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게임 호환성 또한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
3. 배터리 성능
배터리 성능은 최근의 x86 노트북과 비교해 약간 긴 정도로, 12시간 30분 정도의 사용 시간을 보여주며 괜찮은 수준입니다.
-
4. 가격 및 경쟁력
가격대가 높은 편으로, 같은 가격대에서 애플 맥북프로 14 M3, 인텔 코어 울트라 기반 갤럭시북4 프로, 또는 더 높은 성능의 에이수스 프로아트 PX13 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점에서 가격 대비 성능비가 떨어진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됩니다.
-
퀄컴 스냅드래곤X 시리즈는 AI PC 시대의 준비 단계로, 기본 작업에는 충분한 성능을 제공하지만, 게임 및 구형 프로그램의 호환성, 그리고 높은 가격대가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AI PC의 활용도가 늘어나면서 더 나은 AI 기능을 보여줄 가능성은 있지만, 현 시점에서는 구매를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립니다.
네이버백과 검색 네이버사전 검색 위키백과 검색
CopilotPC 관련 동영상










CopilotPC 관련 상품검색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